넷마블게임즈가 택한 글로벌 서비스 전략은 역시 원빌드였다. 단, 북미와 유럽등 서구권과 중국, 일본 등 시장규모가 큰 ‘빅 마켓’은 철저한 현지화를 통해 가능성과 성과를 키운다는 이원화 전략을 내세웠다.
▲ ©
넷마블게임즈는 18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제 2회 ‘NTP’ 더킹카지노주소 행사를 열고 올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함에 따른 전략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넷마블게임즈는 한국에 론칭한 작품과 신작을 합친 약 30종의 게임을 글로벌 시장에 원빌드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작품 목록에는 소셜 카지노 시장을 겨냥한 ‘4원스포커’ ‘올4카지노’와 서구권을 겨냥한 ‘에픽사가’ ‘글린다’, 한국에서 큰 성공을 거둔 ‘레이븐’과 ‘몬스터길들이기’ ‘다함께붕붕붕’이 포함돼 눈길을 끈다.
넷마블게임즈 측은 전세계 모바일게임에 대한 러브콜은 날리돼 매출과 이용자 폭이 넓고 깊은 주요 시장은 별도로 관리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따라 론칭되는 작품들 역시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 ©
별도 관리되는 시장에 출시되는 작품들은 글로벌 버전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콘텐츠와 비지니스 모델 들을 사용하게 될 것으로 추측된다. 지난해 행사에서 방준혁 의장이 언어는 물론 콘텐츠와 과금모델 등까지 철저하게 현지화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기 때문이다.
미국을 중심으로한 서구권 시장은 소셜카지노와 캐주얼RPG등이 주로 출시된다. 특히 디즈니의 지식재산권(IP)을 도입한 ‘모두의마블 디즈니(가제)’는 서구권 이용자가 선호하는 방식으로 개량돼 출시된다.
여기에 이미 흥행성이 검증된 ‘세븐나이츠’와 기획단계부터 이 시장을 노린 ‘워(W.A.R)’ ‘에픽사가’ ‘너티몬스터’ ‘글린다’ 등이 포함돼 있으며, ‘크로노 블레이드’도 한국 시장에서의 반응을 바탕으로 개선-진화된 버전으로 내놓는다.
▲ ©
일본시장에 내놓는 신작도 크게 늘린다. 이미 출시돼 성과를 내고 있는 ‘세븐나이츠’과 ‘레이븐’에 이어 ‘모두의마블 디즈니(가칭)’과 ‘몬스터에이지’, ‘아크문’, ‘던전왕’, ‘더킹오브파이터즈 올스타(가제)’ ‘데스티니6’ 등이 언급됐다.
▲ ©
중국은 하드코어 RPG 4종으로 문을 두드린다. 발표에 따르면 현재 중국출시가 예정된 작품은 ‘리니지2’ ‘레이븐’ ‘스톤에이지’ ‘이데아’ 등으로, 선이 굵은 RPG들이 주를 이뤘다. 특히 넷마블게임즈 측은 약 2억명이 넘는 현지 이용자를 보유한 원작을 바탕으로 개발한 ‘스톤에이지’를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 ©
넷마블게임즈 이승원 부사장은 “지난해 넷마블이 글로벌 퍼블리셔 상위 10위권에 진입하는 등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지만, 그동안은 도약을 위한 선행단계였다고 본다”며 "유명 IP를 결합한 라인업 확대와 지역별 최적화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성과의 폭을 한층 넓혀나가겠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sdfghg
답글삭제